사이트 방문자 유입 경로 파악하기
내 사이트에 어떻게 들어왔을까?
지난 라이브러리에서 누가 내 홈페이지에
들어왔는지 보는 방법을 알려드렸습니다.
내 사이트에 어떻게 접속했을까 라는 주제를 가지고
접속 경로를 파악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접속방법은 크게
1. 브랜드를 알고 접속
2. 검색엔진을 이용한 접속
3. 링크를 통한 접속
이렇게 3가지로 나눌 수가 있습니다.
구글애널리틱스에서는 어떻게 볼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구글 애널리틱스 좌측 메뉴를 보시면
[획득] 이라는 메뉴가 보입니다.
클릭하면 위의 이미지 에서 보이는 것처럼
개요부터 또 다른 메뉴가 보입니다.
여기서 [개요] 라는 메뉴를 클릭합니다.
가장 처음으로 보이는 것이 원형 그래프 입니다.
보시면 Referral, direct , paid search 비율이
많이 높은 편입니다.
아래를 보시면
이렇게 또 자세하게 볼 수 있는 그래프가 있습니다.
그럼 이제부터 용어에 대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 Referral : 링크유입 >
링크를 통해 유입이 되는 것만 카운트 합니다.
즉, 어디에서 링크를 클릭해서 방문한 경로를 보여줍니다.
만약, 배너 광고를 하고 있는데
구글 애널리틱스 내에 해당 URL은 배너광고를 통해
들어오는 것라고 태깅이 되어 있지 않다면
Referral에서 카운팅이 됩니다.
< Direct : 직접유입 >
웹브라우저 주소창에 URL을 직접 입력해서 방문하거나
즐겨찾기에 등록해서 방문하는 방문자를 카운팅 합니다.
< Paid Search : 유료광고로 유입 >
예를 들면, 현재 네이버 키워드광고를 진행 중이시면
어떤 키워드를 검색해서 들어온건지
이 곳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Organic Search : 자연검색유입 >
검색사이트 (구글, 네이버, 다음, 네이트 등) 에서
검색어를 입력하여 유입된 방문자를 카운팅 합니다.
어떤 키워드로 검색을 했는지 확인이 가능하며,
집계되는 키워드를 사용하여 광고 집행 시
활용할 수 있습니다.
< Social : SNS 링크유입 >
소셜 네트워크에서 링크를 타고 들어온 방문자를
카운팅 합니다.
링크를 타고 들어온다는 점에서 Referral 과 차이가 없지만
사이트를 운영하시는 분들은 정확히 어떤 매체에서
유입이 되는지가 민감한 부분이기 때문에
카테고리만 나우어져 있다고 생각하면 될 듯 합니다.
< Display : 배너광고유입 >
기본 카테고리에는 없는 부분이지만
링크가 배너광고임을 태깅하여 명시하면
디스플레이 카테고리가 생성됩니다.
앞에서 Referral 설명할때 말씀드렸듯이
링크에 태깅이 되어 있지 않으면 해당 카테고리가
생성되지 않으며 배너광고 역시
Referral에서 카운팅 됩니다.
이렇게 어디에서 어떻게 내 사이트를 찾아서
방문하는지 까지 알아보았습니다.
"어떻게 들어오나"에 대한 자료는 생각보다
훨씬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구글 애널리틱스를 처음 사용하시는 분이라고 하더라도
위에서 처럼 의미를 알기만하면 어렵지 않게
해당 카테고리를 찾아서 볼 수 있습니다.
'Google Analytics > GA 기초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 티스토리에 구글 애널리틱스 설치하기 (0) | 2017.05.30 |
---|---|
[Google Analytics 기초] 구글 애널리틱스 목표 설정하는 방법 (0) | 2017.05.30 |
웹사이트 유입분석(2) - 내 사이트에 누가 들어왔을까? (0) | 2017.05.29 |
웹사이트 유입분석(1) - 내 사이트에 누가 들어왔을까? (0) | 2017.05.29 |
[Google Analytics 기초] 구글애널리틱스 계정만들기 (0) | 2017.05.29 |